![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 변론기일인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탄핵 반대 집회를 하고 있다. [이상현 기자]](https://pimg.mk.co.kr/news/cms/202502/25/news-p.v1.20250225.7fb27573e4ea421b976c08c766430869_P1.jpg)
“윤석열을 석방하라! 부정선거 수사하라!”
25일 오후 6시께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의 최종(11차) 변론기일인 이날 헌재 앞은 혼잡스러운 모습이었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시위와 탄핵 반대 집회로 혼잡한 이곳에서 지지자로 추정되는 한 남성이 확성기를 잡고 연신 고성을 질렀다.
이 남성은 “탄핵 반대, 사기 탄핵을 반대한다”는 구호를 목이 갈라지도록 반복했다. 남성 근처에 자리 잡은 다른 윤 대통령 지지자들도 “윤석열을 석방하라”, “눈 떠서 보란 말이야, 이게 사기 탄핵이잖아”, “탄핵 무효” 등을 연이어 외쳤다.
윤 대통령의 최종변론이 아직 시작되지 않았지만, 시위대의 목소리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헌재는 이날 오후 2시부터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 마지막 변론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헌재에 도착해 대기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 변론기일인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 경찰 버스 차벽이 세워진 모습. [이상현 기자]](https://pimg.mk.co.kr/news/cms/202502/25/news-p.v1.20250225.fe2e037516d2451183be4441388d621f_P1.jpg)
지지자와 집회 참가자들은 낮부터 헌재 길 건너, 그리고 안국역 5번 출구 인근으로 대거 모여들었다. 동시다발적 집회에 경찰은 오후 3시부터는 헌재 정문 100m 인근까지 전면 통제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일대 전 차로도 전면 통제됐다. 경찰은 이날 오전부터 64개 부대 4000여 명의 경력을 배치해 헌재와 안국역 일대를 집중 관리하고 있다.
북촌로 양방향 차로에는 45인층 기동대 버스가 빼곡하게 차벽을 만들었다. 차벽에 막혀 헌재가 보이지 않자 일부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숨길 게 있느냐”, “문형배(헌재소장 권한대행)는 밖으로 나와라” 등을 외치며 항의했다.
경찰은 헌재 바로 앞 인도에 바리게이트를 치고 시위대의 헌재 진입 시도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헌재 내부에도 버스 차벽이 세워졌다. 헌재 정문에 모였던 1인 시위자들은 오후 1시께부터 길 건너로 이동하거나 해산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 변론기일인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모습. [이상현 기자]](https://pimg.mk.co.kr/news/cms/202502/25/news-p.v1.20250225.3064316fcc6a45c2b4a06f33d78cbf5d_P1.jpg)
집회 측 추산에 따르면 이날 모인 시위대는 약 4000명에 이른다. 시위대는 대부분 중장년이었지만, 곳곳에 태극기를 들거나 몸에 두르고 나온 2030 세대도 눈에 띄었다.
윤 대통령 얼굴이 새겨진 배지를 달고 있는 이들도 많았고, 태극기와 성조기, 모자 등을 판매하는 노점상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시위대 사이에서는 ‘공산화’ 우려가 재차 쏟아지기도 했다. 집회 마련한 단상 위에 오른 한 젊은 남성은 “계엄이 있고서야 비로소 세상을 똑바로 보게 됐다”며 “간첩들을 뿌리 뽑지 않으면 나라가 공산화된다. 윤 대통령이 탄핵 되어도 나라는 공산화된다”고 목청을 높였다.
시위에 참여한 한 20대 여성은 단상 위에 오른 다른 윤 대통령 지지자를 보며 “어떻게 무대 위에서 저렇게 말을 잘하느냐”며 “다들 한 번씩 울컥하는 것 같으면서도 말을 잘한다. 대단하다. 역시 애국자들”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 변론기일인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정문에서 경찰관들이 바리케이드를 세우고 근무하고 있다. [이상현 기자]](https://pimg.mk.co.kr/news/cms/202502/25/news-p.v1.20250225.8f96ead871ea40068e3e0fe7474ddc87_P1.jpg)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최종 변론일은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84일 만이자 지난해 12월 14일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통과돼 헌법재판소에 접수된 지 73일 만이다.
이날 최종 변론은 증거조사, 종합변론, 최종의견 진술로 이어진다. 양측 증거조사를 마친 뒤 양측 대리인단이 각각 2시간씩 종합변론을 하고 이후 국회 소추위원인 정청래 법제사법위원장과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이 이어진다.
윤 대통령은 마지막 변론에서 비상계엄 선포가 불가피했다는 기존 주장을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비상계엄 선포로 인한 국정 혼란에 대한 대국민 사과가 포함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