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이재명 “K엔비디아, 국민이 지분 30% 가지면 세금 의존 안해도 돼”...與 맹비난

김명환 기자
입력 : 
2025-03-04 07:17:1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한국판 엔비디아’의 탄생을 제안하며 민간 자본과 국민 지분의 분배를 주장하자 여권 잠룡들이 일제히 반발했다.

이들은 이 대표의 발언이 기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며 비판했고, 야권에서는 정부의 자본주의 시장경제 원리를 옹호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은 이 대표의 주장을 “기본소득보다 더 황당한 공상소설”이라고 평가하며, 정치가의 역할은 혁신과 기업가정신을 촉진하는 경제 환경을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오세훈 “투자 의지 꺾는 자해적 아이디어”
이준석 “오른쪽 깜빡이 켜고 결국 좌회전”
유승민 “상상 속 회사에서 뜯어먹을 궁리”
‘AI와 대한민국, 그리고 나’ 대담에 출연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 = 유튜브 채널 ‘오피큐알 OPQR’ 영상 캡처]
‘AI와 대한민국, 그리고 나’ 대담에 출연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 = 유튜브 채널 ‘오피큐알 OPQR’ 영상 캡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한국판 엔비디아’의 탄생을 가정하며 “민간이 지분을 70% 갖고 30%는 국민 모두가 갖도록 나누면 굳이 세금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 발언을 두고 여권 잠룡들이 3일 일제히 맹비난하고 나섰다. 이들은 ‘기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며 이 대표의 주장이 허무맹랑하다고 힐난했다. 반면 야권에서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기초’라는 옹호가 나왔다.

이 대표는 전날 민주연구원 집단지성센터를 통해 공개된 대담에서 “앞으로 도래할 인공지능(AI) 사회에 엄청난 생산성 중 일부를 공공영역이 가지고 있으면서 국민 모두가 그것을 나누는 시대도 가능하다”며 자신만의 ‘K엔비디아’ 구상을 내놨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이 대표의 발상은 기업 성장의 동력이 돼야 할 투자 의지를 꺾는 자해적 아이디어”라며 “얼마 전 그는 삼성전자 같은 기업을 6개 만들겠다는 언급을 했는데, 기업과 기술이 만드는 국가 번영의 원리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이재명의 나라’에서 삼성이든 엔비디아든 생길 수 없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우클릭’으로 포장하고 실제로는 ‘사회주의’로 나아가자는 것”이라며 “진정 경제를 살리고 싶다면 기업이 자유롭게 투자하고 혁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도 이 대표의 구상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아무리 오른쪽 깜빡이를 켜도 본질적으로 반기업적, 반시장적 인물이라는 것이 다시 한번 증명됐다”며 “정보통신(IT) 기업의 성장주기를 조금이라도 이해한다면 ‘국민 지분 30%’라는 발상이 얼마나 비현실적인지 알 수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실제로 젠슨 황의 지분율도 창업 초기 20%에서 시작해 IPO(기업공개) 후 점차 희석됐으며, 현재는 약 3.5%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은 “기본소득보다 더 황당한 공상소설 같은 얘기”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유 전 의원은 “빅테크와 스타트업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도 없는 아무 말 대잔치”라며 “정치가 할 일은 ‘어떻게 하면 창조적 파괴와 혁신, 기업가정신이 꽃을 피우는 시장경제를 만들 것인가’에 답을 내놓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