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결정 26일보다 늦어지면
李 최종심, 대선 변수 가능성
여권 공세 사전차단 하려
尹탄핵 결단 촉구 안간힘
李 최종심, 대선 변수 가능성
여권 공세 사전차단 하려
尹탄핵 결단 촉구 안간힘
여야의 이 같은 입장차는 유력 대선 후보인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배경이다. 오는 26일 이뤄지는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2심 선고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와 함께 정국을 흔들 분수령으로 꼽힌다.
이 대표는 지난해 11월 이 사건 1심에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1심 형이 확정되면 의원직을 잃게 될 뿐만 아니라 대선에 출마할 수도 없다. 민주당에서는 2심에서 무죄 또는 100만원 미만으로 감형이 이뤄지기를 바라고 있지만, 만약 1심 결과가 2심까지 이어질 경우 단일대오에 이탈이 생기며 이 대표 대세론이 흔들릴 수 있는 상황이다. 만약 탄핵심판 결과가 이달 26일 이후 나오게 되면 윤 대통령의 파면 여부가 결정되기도 전에 이 대표가 유죄 선고로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헌재 선고일이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퇴임일(4월 18일)에 가까운 오는 4월 중순까지 밀릴 경우에는 6월 조기 대선과 이 대표 사건의 대법원 선고가 맞물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주당 입장에서 최악의 경우는 조기대선 국면에서 이 대표에 대한 유죄 판결이 대법원에서 확정되는 것으로 대응할 새도 없이 유력 대선 후보를 잃게 되고 주도권도 뺏기는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다.
민주당은 이런 배경에서 이 대표 2심 선고가 나오기 전 헌재의 빠른 결단을 촉구하고 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임계점이 넘어가면 헌재 판단 결과가 나와도 치유가 어려울 수 있다"며 "민주주의, 민생경제, 안보 위기가 총체적으로 가면서 심각성이 커지는데 헌재가 윤 대통령 파면 결정을 통해 대한민국이 회복력을 가진 나라라는 메시지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결론은 이 대표 2심 선고 이후에 나와야 한다"며 "그래야 그나마 헌법재판소가 편파·졸속 운영에 대한 비판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썼다. 그러면서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3월 26일 이전에 있는 것은 무리한 정치적 고려, 편파·졸속 재판 고의가 작동한 것이라 간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홍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