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 예결위원장실에서 매일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https://pimg.mk.co.kr/news/cms/202503/20/news-p.v1.20250320.a16ccc2b980544da88e1e386f9138374_P1.png)
국민 10명 중 7명은 추가경정예산 편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0일 나왔다.
여론조사기관 메타보이스가 박정 국회 예산결산위원장의 의뢰를 받아 지난 12∼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 추경 편성의 필요성을 물은 결과 응답자의 70.5%가 ‘필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22.6%였고, ‘잘 모른다’는 답변은 6.9%였다. 추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 중 절반 이상(54.8%)은 추경 편성 이유로 ‘경기 침체 대응’을 꼽았다. 이어 ‘취약 계층 지원’(15.2%), ‘글로벌 경제 상황 대응’(13.6%), ‘일자리 창출’(10.3%), ‘자연재해 및 재난 복구’(2.0%) 등이 뒤따랐다.
적절한 추경 편성 시기로는 ‘3월 중’이 29.1%로 가장 많았다. ‘4월 중’과 ‘6월 또는 그 이후’가 각각 19.7%로 뒤를 이었고, ‘5월 중’이라는 응답은 15.0%였다. ‘잘 모르겠다’는 답변은 16.5%였다. 바람직한 추경 사용처의 경우 ‘내수 진작을 위한 소비 지원’을 택한 응답자가 2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19.4%), ‘AI(인공지능)·반도체 및 R&D 확대’(19.1%), ‘고용안정 및 일자리 창출’(17.4%), ‘복지 및 취약계층 지원’(13.4%) 순이었다.
최근 1년간의 경제 상황 체감도에 대해선 전체 응답자의 84.1%가 ‘나빠졌다’고 답했다. ‘비슷하다’는 10.6%, ‘나아졌다’는 3.6%로 조사됐다.
박 위원장은 “내수 진작과 물가 안정, 취약계층 지원 등 민생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추경이 시급하다”며 “지체된 추경은 정의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를 활용한 ARS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