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공급가뭄 앞으로 더 심각 4월 서울 주택 분양 '제로'

이희수 기자
입력 : 
2025-03-23 16:45:15
수정 : 
2025-03-23 19:11:5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달 서울 아파트 분양 물량이 0건으로 예상되며, 이는 탄핵 정국 혼란과 재건축 시장 위축으로 인한 일정 연기로 인한 것이다.

올해 서울의 신규 분양은 단 1개 단지인 서초구 방배동의 '래미안 원페를라'에 그치고 있으며, 1분기 전체 청약 물량은 500가구도 넘지 않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5월 중으로 예정된 분양 물량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향후 서울 주택 시장의 공급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내달 분양 예정된 단지 3곳
일제히 공급 계획 뒤로 미뤄
업계 "탄핵 정국 부담스러워
혼란 잦아들어야 분양 추진"
다음달 서울 아파트 분양 물량이 0건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탄핵 정국 혼란과 재건축 시장 위축으로 인한 혼란이 커지면서 신규 분양 일정이 줄줄이 밀리고 있기 때문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여파로 서울 강남권에서 일부 '급매물'이 나오고 있지만 단기 조정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23일 부동산 정보 업체 부동산R114와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오는 4월 중 분양이 예상됐던 서울 시내 3개 단지의 공급 계획이 다음달 이후로 미뤄졌다.

당초 다음달 강남구 역삼동 은하수아파트 재건축 물량인 '자이더 캐럿 141', 구로구 '고척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성북구 동선2구역 재개발 사업 물량이 나올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일정이 연기돼 5월 이전에는 분양이 어려울 것으로 확인됐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해당 단지들의 분양이 모두 연기됐다면 4월에도 서울 분양은 없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올 들어 서울의 신규 분양은 단 1개 단지에 그친 상황이다.

올해 1~3월 서울의 신규 분양은 지난달 초 청약을 진행한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가 유일하다. 전체 1097가구 가운데 482가구가 일반분양됐다. 올해 1분기 서울 전체 청약 물량이 500가구도 안 됐다는 의미다. 이는 최근 5년간 역대 1분기 서울 분양 물량으로는 최저치다.

서울 분양 가뭄은 탄핵 정국의 영향이 크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탄핵 판결에 따른 후폭풍과 혹시 모를 조기 대선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혼란이 잦아들고 분양하자는 분위기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에서 5월 중 분양을 계획하는 단지도 1곳 정도뿐이다. 은평구 대조동에 지어지는 '힐스테이트 메디알레'다. 다만 시장 상황을 볼 때 이 또한 미뤄질 수 있다는 게 분양 업계의 전망이다. 한 분양 업계 관계자는 "5월에 조기 대선을 한다거나 하면 남아 있는 분양 예정 물량도 하반기로 미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분양 가뭄은 공사비 상승에 따른 사업성 악화로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위축된 여파도 있다. 또한 내년 서울 주택 시장은 입주 물량이 2만4462가구로 올해(4만6710가구) 대비 반 토막 수준으로 줄어들 예정이다. 이로 인해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지정된다고 해도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집값은 하락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부동산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단기적으론 규제 때문에 하락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론 기준금리 인하와 공급 부족이란 두 요소로 인해 하락하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희수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