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신혼부부 10쌍중 1쌍 다문화 가정

정석환 기자
입력 : 
2025-03-23 16:54:10
수정 : 
2025-03-23 19:31:5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3년 다문화 결혼 건수가 2만431건으로 집계되며 전체 결혼의 10.6%를 차지해 4년 만에 다문화 결혼 비중이 10%를 돌파했다.

그러나 다문화가족 구성원의 32.4%가 단순 노무직에 종사하고 있으며, 이들 중 79.6%는 월평균 250만원 미만의 임금을 받고 있어 삶의 질이 열악하다.

전문가들은 저숙련 노동자의 처우 개선과 함께 고숙련 노동자에 대한 근로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베트남 신부·중국 신랑 가장 많아
저숙련 노동자 비중 높아 한계
외국인 교수·IT인재는 韓외면
◆ 다문화 ◆
사진설명
국내 다문화 결혼이 4년 만에 2만건을 넘어서며 전체 결혼 건수 중 다문화 결혼 비중이 10%를 넘어섰다. 결혼을 통해 국내에 다문화가족이 늘어가고 있지만 노동 여건은 녹록지 않다. 다문화가족 구성원 3명 중 1명은 저숙련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

다양한 해외 인재를 포용해 국내 다문화가족의 지속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2023년 다문화 혼인은 2만43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1만7428건 대비 3003건(17.2%) 늘어난 숫자다.

다문화 결혼이 2만건을 넘어선 것은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2만4721건 이후 4년 만이다. 전체 결혼 가운데 다문화 결혼이 차지하는 비중도 10.6%로 2019년(10.3%) 이후 4년 만에 10%를 돌파했다.

다문화 결혼 증가폭은 국내 전체 결혼 증가폭을 훨씬 웃돈다. 2022년에서 2023년 국내 전체 혼인 건수는 19만1690건에서 19만3657건으로 1% 늘어나는 데 그쳤다.

다문화 결혼을 한 아내의 출신 국적은 베트남이 27.9%로 가장 많았다. 중국과 태국은 각각 17.4%, 9.9%를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특히 아내가 베트남 출신인 다문화 결혼 비중은 2022년 23.0% 대비 4.9%포인트 증가하면서 가장 높은 증가폭을 보였다. 남편의 출신 국적은 중국과 미국이 각각 6.9%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다문화가족이 늘고 있지만 삶의 수준은 여전히 열악하다.

2021년 여성가족부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에 따르면 다문화가족의 32.4%가 단순 노무직에 종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 전체에서 단순 노무직 종사 비율 14.4%와 비교하면 결혼이민자, 귀화자 등 다문화가족 구성원의 단순 노무직 비중이 훨씬 높은 셈이다.

이성순 목원대 교수는 "다문화가정이라는 이유로 무작정 지원하는 것은 불가능한 만큼 결국 한국으로 이주한 이들의 직업 역량과 취업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임금 측면에서는 다문화가정 구성원인 근로자의 79.6%가 월평균 250만원 미만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용근로자 비중도 16.5%로 국민 전체 4.5%와 비교해 4배가량 높았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저숙련 노동자들 처우에 대한 개선뿐만 아니라 고숙련 노동자들에 대한 근로환경 개선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은다. 국내 유명 대학에 임용된 외국인 교수나 IT 분야 숙련된 인재들이 막상 한국에 와도 폐쇄적인 여건 탓에 한국을 떠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것이다.

김현철 연세대 교수는 "한국에서 초빙하는 하이테크 인재는 홍콩, 싱가포르에도 갈 수 있는 인재들인데 경쟁 국가들에 비해 월급도 상대적으로 낮고 영어도 잘 안 통하고 국제학교 여건도 열악한 한국에 오려고 하겠느냐"며 "저숙련 노동자들뿐만 아니라 고숙련 노동자들이 한국에서 사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석환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