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IT·과학

바짝 마른 영남, 위성사진 보니... 곳곳에 산불 연기

최원석 기자
입력 : 
2025-03-25 15:07:3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국적으로 산불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텔레픽스는 최근 위성 데이터를 통해 22일부터 24일 사이의 산불 피해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북도 의성군,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으며, 이들 지역의 산불 피해 면적은 총 118.51㎢에 달하여 여의도 14배 크기와 같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과 저습도가 산불 발생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산불 발생 건수와 피해 면적이 2020년대 들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전년보다 건조했던 영남 지역
동시다발 산불 원인은 기후변화
22일 천리안 해양관측위성(GOCI-II) 통해 포착된 산불 연기. [사진=텔레픽스]
22일 천리안 해양관측위성(GOCI-II) 통해 포착된 산불 연기. [사진=텔레픽스]

전국적으로 산불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공위성으로 산불 피해를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

위성 토탈 솔루션 기업인 텔레픽스는 지난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적으로 발생한 산불을 촬영한 위성 데이터 분석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천리안 해양관측위성(GOCI-Ⅱ)와 유럽우주국의 센티넬2가 촬영한 한반도 위성 사진을 분석했다.

텔레픽스가 공개한 한반도 사진에 따르면, 총 3개 지역에서 뿌연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이 기간에 발생한 48건의 산불 중에서도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북도 의성군,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피해 상황이 큰데, 이 지역의 산불 연기가 위성에 포착된 것이다.

위성으로 분석한 결과, 22일 오전 11시 15분 기준 산청군의 산불 피해 면적은 5.48㎢로 추산됐다. 24일 오후 6시 기준 의성군은 약 108.47㎢, 울주군은 약 4.56㎢ 규모의 피해를 입었다. 이 면적만 합쳐도 여의도 14배에 달하는 크기다.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원인은 영남 지역이 평년보다 건조했던 때문으로 추정된다. 텔레픽스 산하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연구소’는 “지난해 3월과 비교했을 때 올해 영남 지역은 전반적으로 습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자동기상관측장비로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의성군의 습도는 23% 수준으로 매우 건조한 상태였다. 산불 피해가 심한 의성군 안계면의 토양도 전년보다 더 건조한 양상을 보였다.

최근 산불이 잦아지고 대형화되는 이유로는 기후변화가 꼽힌다. 김지희 텔레픽스 영상과학연구팀장은 “2020년대 들어 산불 발생 건수와 피해 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이번 산불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추정해 과거 기후와의 연관성을 내부적으로 추정 중”이라고 말했다.

센티넬2 위성으로 의성군 안계면 토양의 수분지수 비교한 결과로, 지난해 3월 대비 올 3월이 더 건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텔레픽스]
센티넬2 위성으로 의성군 안계면 토양의 수분지수 비교한 결과로, 지난해 3월 대비 올 3월이 더 건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텔레픽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