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KOTRA아카데미 이영선 연구위원, ‘미중 FDI 전쟁-그리고 한국의 선택은 무엇인가?’ 출간

추동훈 기자
입력 : 
2025-03-27 14:47:1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영선 코트라 아카데미 연구위원이 ‘미중 FDI 전쟁-그러면 한국의 선택은 무엇인가?’를 출간하며, 미국 내 제조업 환경과 미중 간 FDI 경쟁을 분석했다.

그는 미국의 자국 중심 정책이 중국의 제조업 성장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하며, 이는 한국 제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과 미국 간의 상호보완적 산업 협력을 통해 한국 산업의 고도화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미중 FDI 전쟁 속 한국 전략 담은 신간
글로벌 공급망에 ‘교차투자’ 해법 제시
한국 제조업, 미국 탈중국 전략에 기회
미국 제조업 쇠퇴가 FDI 전쟁 불러
한미, 기술·생산 분업 통한 상생 강조

이영선 코트라 아카데미 연구위원(중앙대 창업경영대학원 겸임교수)이 27일 ‘미중 FDI 전쟁-그러면 한국의 선택은 무엇인가?’를 출간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KOTRA 시카고 무역관장을 지낸 이 연구위원은 이 기간 미국 내 제조업 환경과 미중 간 외국인직접투자(FDI) 경쟁 구도를 분석한 내용을 책에 담았다.

이 연구위원은 미국이 제조업의 부활을 외치며 관세 부과 등 자국 중심 정책을 펴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중국 제조업이 급성장한 반면 미국 제조업은 쇠퇴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글로벌 공급망에서 미국이 중국을 배제하려는 움직임은 한국 제조업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신간은 총 5부로 구성됐다. 1부는 미국 제조업의 번영과 쇠퇴 과정을 다뤘으며, 2부는 이 쇠퇴가 미국의 해외직접투자 약화로 이어진 점을 짚었다. 3부에서는 미중 제조업 간 FDI 경쟁을 조명했고, 4부에서는 한국 제조업의 대미 투자 전략을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은 한국의 대미 직접투자가 1980년대 일본 자동차 산업의 미국 투자 사례와 유사하다고 언급했다. 마지막 5부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에 따른 한미 간 교차투자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이 연구위원은 “한국은 생산에서, 미국은 원천기술에서 강점을 갖고 있어 상호보완적 산업 협력이 가능하다”며 “미국이 한국에 첨단산업 분야 직접투자를 확대하면 한국 산업의 고도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한국 기업의 미국 내 투자도 활성화돼 미국 제조업 부활에도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

이영선 코트라아카데미 연구위원 신간 ‘미중 FDI 전쟁-그리고 한국의 선택은 무엇인가?’
이영선 코트라아카데미 연구위원 신간 ‘미중 FDI 전쟁-그리고 한국의 선택은 무엇인가?’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