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80년대생부터 여성이 남성보다 더 ‘고학력’… 청년층 첫 취업도 늦어져

김지윤 기자
입력 : 
2025-03-27 17:34:4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980년대생 여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남성을 초과했으며, 청년층의 첫 일자리 취업 연령이 점차 늦어지는 추세로 분석됐다.

통계청의 보고서에 따르면 1990~1994년생 여성의 대학 이상 졸업 비율은 78.5%로 남성보다 13% 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하지 않거나 교육을 받지 않는 청년 니트족의 비율도 모든 세대에서 20%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취업 [사진 제공 = 연합뉴스]
취업 [사진 제공 = 연합뉴스]

1980년대생 여성부터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같은 나이 남성을 추월했으며 청년층의 첫 일자리 취업 시기가 늦춰지는 추세도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국가통계연구원은 이런 내용이 담긴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교육·취업’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1970년부터 1994년까지 태어난 청년 세대를 5년 단위 코호트(공통된 특성을 가진 인구 집단)로 나누고 교육 수준, 고용, 자립 시기 등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대생 이전까지는 대학 이상 졸업자 남성 비율이 여성을 웃돌았지만, 1980년생부터는 여성이 역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0~84년생의 대학 이상 졸업 비율은 남성이 69.4%, 여성이 72.1%였고, 1985~89년생의 경우 남성은 72.2%, 여성은 77.3%였다.

1990~1994년생부터는 여성의 대학 이상 졸업 비율이 78.5%로, 남성(65.3%)보다 두 자릿수 이상(13% 포인트) 높았다. 1990~1994년생은 26~30세를, 나머지 세대는 각각 31~35세일 때를 기준으로 집계한 결과다.

청년층의 취업 시기는 늦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첫 취업 연령을 코호트별로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1975~79년생은 25~29세를 기준으로 22.12세, 1980~84년생은 22.72세로 집계됐다.

1985~89년생부터 23.4세로 높아졌고, 1990~94년생도 23.36세로 유사하느 흐름이 유지됐다.

일하지 않고 교육도 받지 않는 이른바 청년 니트(NEET)족의 비율은 모든 세대에서 20세 이후 20% 이상을 기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