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서울시, 러브버그·팅커벨과의 전쟁 선포

안병준 기자
입력 : 
2025-03-27 17:42:57
수정 : 
2025-03-27 20:08:0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시는 최근 대발생 곤충으로 분류된 '러브버그'와 '팅커벨'을 방제 대상으로 포함하는 조례를 공포했다.

이들 곤충은 감염병을 매개하지 않지만 대량 출몰로 인해 시민들에게 신체적·정신적 불편을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야구장 조명 아래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민원 접수 건수는 2022년 4378건에서 2023년 6174건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출몰 지역도 수도권을 넘어 충청권으로 확대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매년 급증하는 시민 민원에
공식 방제대상 포함하기로
서울 은평구청 관계자들이 러브버그 출몰 지역에서 긴급 방역을 하는 모습. 매경DB
서울 은평구청 관계자들이 러브버그 출몰 지역에서 긴급 방역을 하는 모습. 매경DB


서울시가 최근 몇 년간 수도권을 중심으로 출몰하고 있는 이른바 '러브버그(사랑벌레)' '팅커벨(동양하루살이)'과 같은 신종 곤충을 방제 대상에 포함한다. 이들 곤충은 감염병을 매개하는 해충이 아닌 것으로 알려졌지만 대량 출몰로 인해 시민에게 불편함을 끼치고 안전사고 유발 가능성도 있다.

27일 서울시는 대발생 곤충에 대한 친환경적 방제 지원 근거를 마련한 '서울시 대발생 곤충 관리 및 방제 지원에 관한 조례' 등 조례·규칙 75건을 공포했다.

대발생 곤충은 러브버그같이 시민과 밀접한 지역에 대량으로 출몰해 시민에게 상당한 신체적·정신적 피해 또는 불편을 주는 곤충을 말한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러브버그, 팅커벨에 대한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이한 생김새와 사람에게 날아드는 습성 때문에 불편함과 혐오감을 유발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야간 경기가 열리는 야구장 조명에 곤충이 대거 몰리는 장면은 크게 논란이 된 바 있다.

최근 3년간 서울시가 접수한 러브버그 민원도 증가하는 추세다. 2022년에는 은평구, 서대문구 등 주로 서북부 위주로만 출몰해 민원 건수가 4378건이었지만 2023년에는 출몰 지역이 서울 전역으로 확대되면서 6174건으로 크게 늘었다. 작년에는 7월 초까지 관련 민원이 9296건에 달했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러브버그 같은 대발생 곤충은 수도권뿐만 아니라 충청권으로도 출몰 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안병준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