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트럼프 "생큐, 현대차 위대한 기업"

박제완 기자
입력 : 
2025-03-25 17:47:54
수정 : 
2025-03-25 20:27:1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에 210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발표하며 완성차 신공장과 차량용 강판 제철소를 포함한 모빌리티 공급망을 현지에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투자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이루어졌으며, 2028년까지 사업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그룹의 이 투자가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정의선의 승부수 … 美에 역대최대 31조 투자
쇳물부터 자동차까지, 美서 모빌리티 공급망 수직계열화
트럼프 "앞으로 관세 안내도 돼"… 공장초청에 "오케이"
◆ 진격의 현대차 ◆
정의선 회장, 韓 CEO 첫 백악관 투자발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4일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앞으로 4년 동안 미국에 추가로 21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며 "이는 현대차가 미국에 투자한 사상 최대 규모"라고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대차는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자동차를 생산하게 되며 그 결과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화답했다. 왼쪽부터 마이크 존슨 미국 연방 하원의장, 정 회장, 트럼프 대통령,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  AP연합뉴스
정의선 회장, 韓 CEO 첫 백악관 투자발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4일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앞으로 4년 동안 미국에 추가로 21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며 "이는 현대차가 미국에 투자한 사상 최대 규모"라고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대차는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자동차를 생산하게 되며 그 결과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화답했다. 왼쪽부터 마이크 존슨 미국 연방 하원의장, 정 회장, 트럼프 대통령,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 AP연합뉴스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에 210억달러(약 31조원) 규모의 '투자 보따리'를 풀었다. 미국 진출 이후 최대 투자액이다.

현대차그룹은 완성차 신공장뿐만 아니라 차량용 강판을 생산할 제철소를 포함해 모빌리티 공급망 전반을 미국 현지에 마련하기로 했다. 이 같은 투자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일주일가량 남겨놓고 이뤄졌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투자 패키지를 발표했다. 사업 완료 시점은 트럼프 대통령 임기 종료 전인 2028년이다. 현대차그룹은 향후 4년간 자동차 분야에 86억달러(약 13조원), 부품·물류·철강 분야에 61억달러(약 9조원), 미래산업·에너지 분야에 63억달러(약 9조원)를 각각 투자한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조지아주에서 시험 운영 중인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연간 생산능력을 현재 30만대에서 50만대로 늘린다.

철강 분야에서는 현대제철이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한다. 신사업 분야에서는 엔비디아, 웨이모를 비롯한 미국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잠재력이 있는 미국 현지 스타트업에 투자한다.

행사에 앞서 연단에 오른 정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새 임기의 놀라운 시작을 축하드린다"며 "이 약속의 핵심은 철강과 부품에서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미국 내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대기업 총수가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대미 투자 계획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투자는 관세가 매우 강력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라며 "현대차그룹은 미국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들 것이다. (미국에서 생산하면) 결국 관세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 회장에게 "진정 위대한 기업인 현대와 함께하게 돼 큰 영광"이라며 "원하는 허가를 받는 데 문제가 있으면 나를 찾아오라"고도 말했다.

정 회장은 "최첨단 제조시설 중 한 곳을 직접 방문해 미국과 미국 노동자에 대한 우리의 약속을 확인해보기를 권한다"며 초청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오케이"라고 화답했다. 발표 현장에는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 등이 함께했다.

[박제완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