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北 '하늘의 눈' 떴다 … 조기경보기 첫 공개

김성훈 기자
입력 : 
2025-03-27 17:49:2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북한이 27일 공중조기경보통제기 형태의 군용기를 공개하며 한미 연합군의 압도적 공중 전력에 대응할 의지를 드러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위원장이 조기경보기로 보이는 기체에 올라 지시를 내리는 사진을 보도했으며, 해당 항공기는 러시아제 일류신(IL)-76 위에 레이돔을 장착한 모습이었다.

군당국은 북한의 해당 기종이 아직 전력화 단계는 아니며, 효용성에 대한 추가 평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현대전 핵심인 '하늘의 지휘소'
공중전 전력 열세 극복 나선듯
러시아제 수송기에 레이돔 얹어 軍 "러 부품·기술 지원했을듯"
27일 북한이 관영 매체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추정 기체의 비행 장면.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27일 북한이 관영 매체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추정 기체의 비행 장면.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공중에서 적의 정보와 동태를 파악하는 공중조기경보통제기 형태의 군용기를 27일 전격 공개했다. 한미 연합군이 압도적인 우위를 가진 공중 감시정찰·전자전 전력을 보강해 열세를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드러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이날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현지지도 소식을 보도하면서 그가 조기경보기로 보이는 기체에 올라 감시·정찰 장비들이 설치된 내부에서 간부들에게 지시를 내리는 사진을 보도했다. 또 해당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것을 지켜보는 김 위원장 모습도 공개했다. 이 항공기는 러시아제 일류신(IL)-76 수송기 위에 레이돔(radome)을 올린 모습이었다.

이날 군당국은 북한이 아직 해당 기종을 전력화한 단계는 아니며 전략적 활용도 측면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관련 질문에 "(북한이) 공개한 조기경보기는 아직 정상 운영 여부나 효용성 측면에서도 새로운 평가가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굉장히 둔중하고 요격에도 취약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항공기) 내부 장치들과 부품들은 러시아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고, 기종 자체는 북한이 보유하고 있던 것을 개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이 수년 전부터 조기경보기를 개발해온 가운데 러시아와 협력해 개발이 가속화했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은 2017년부터 일류신 수송기를 플랫폼으로 상부를 개조하는 등 조기경보기 개발 징후를 보여왔다"고 말했다. 홍 연구위원은 "러시아가 기존 기종을 (조기경보기로) 개조할 수 있도록 북한에 기술적인 도움을 줘서 최근 속도가 났을 개연성이 있다"고 관측했다. 그는 북한이 러시아에서 파병 대가 중 하나로 재래식 전력 현대화를 위한 기술 지원을 받고 있을 가능성이 상당하다고 봤다.

[김성훈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