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정의선 "관세, 이제부터가 중요 정부·기업 '원팀'으로 협상해야"

김동은 기자
입력 : 
2025-03-27 17:50:0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및 자동차 관세와 관련하여 정부와 기업이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협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HMGMA 준공식에서 관세 부과 예고일인 4월 2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현대차그룹이 관세 정책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장재훈 부회장은 현대차그룹의 210억달러 투자 계획을 설명하며, 미국 생산 확대가 한국 생산 감소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鄭회장 美현지 기자간담회
◆ 진격의 현대차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HMGMA 준공식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현대차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HMGMA 준공식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현대차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6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추진 중인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에 대해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 지속적으로 협상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이날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 발표 이후 협상은 정부 주도하에 개별 기업도 해야 하므로 그때부터가 시작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관세 부과 예고일인) 4월 2일이 굉장히 중요한 시기라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관세는 국가 대 국가의 문제"라고 강조하면서 "이 때문에 (현대차그룹 같은) 한 기업이 무엇을 한다고 해서 관세 정책이 크게 바뀔 거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정 회장은 지난 24일 백악관에서 투자 발표를 한 이유에 대해 "원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여기 공장으로 초청했는데 루이지애나주에 현대제철이 전기로 공장을 건설한다는 얘기를 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발표하는 것이 더 좋겠다고 해 그 자리에서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9년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했을 때 이미 미국에 공장을 지을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그 점에 대해 이해를 잘 해주셨다"고 덧붙였다.

정 회장은 HMGMA와 관련해 "시장에서 원하는 모델을 만들어 전 세계 공장 중에서도 중점적으로 운영하게 될 것"이라며 "HMGMA는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에서 개발한 기술을 적용해 더 품질이 좋은 차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앞으로 4년간 투자를 약속한 210억달러의 투자처에 대해선 "부품이나 부품에 들어가는 철판 등에 투입될 것"이라며 "또 로보틱스나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신기술에도 집중적으로 투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은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이어갔다. 장 부회장은 "210억달러 중 86억달러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61억달러는 제철과 부품 일부에 투입하고 63억달러를 미래 사업에 투자한다"면서 "또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투입하는 86억달러 중 가장 많이 들어가는 곳은 HMGMA 20만대 증산을 위한 시설투자이며 부품 클러스터 조성, 노후화된 앨라배마 공장과 조지아 공장 개량, 배터리 조인트벤처 투자도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장 부회장은 미국 생산 확대로 한국 내 생산이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국내 생산이 줄어드는 것을 걱정하기에 앞서 미국 시장에서 공격적으로 파이를 넓혀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미국에서 생산량을 확대해도 국내에서도 생산을 늘려야 하며 이를 위해 상품성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HMGMA에서 생산되는 물량 중 40%는 기아 차종이 될 것"이라며 "첫 번째 차가 생산되는 시점은 내년 중반"이라고 말했다.

[엘라벨 김동은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