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세대 구직자 10명 중 6명은 높은 연봉, 안정성 등을 이유로 블루칼라 직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루칼라’는 생산직에 종사하는 육체 노동자를 일컫는 말로 구체적으로는 제조업 •광업 •건설업 등의 생산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를 말한다.
사무실에서 일하며 봉급을 받는 사람을 뜻하는 ‘화이트칼라’와 반대되는 의미다.
28일 채용 플랫폼 ‘캐치’를 운영하는 진학사가 Z세대 구직자 16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연봉 7000만 원의 교대근무 블루칼라’와 ‘연봉 3000만 원의 워라밸 좋은 화이트칼라’ 중 블루칼라를 선택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58%로 과반을 넘었다. 화이트칼라는 42%에 그쳤다.
블루칼라에 대한 인식 자체도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
응답자의 63%가 “블루칼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답했으며, ‘보통이다’는 30%, ‘부정적이다’는 7%에 불과했다.
블루칼라 직업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연봉이 높아서(67%)’, ‘기술을 갖추면 해고 위험이 낮아서(13%)’, ‘야근·승진 스트레스가 덜해서(10%)’ 등이 꼽혔다.
반대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응답자들은 육체적으로 힘들다(47%)‘는 이유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어려워서(15%) ▲노동에 비해 급여가 적어서(11%) ▲성장 기회가 적어서(11%) ▲야근, 교대근무가 힘들어서(7%) ▲대학교 졸업(학력)이 아까워서(6%) ▲자동화 등 일자리가 줄 것 같아서(2%) 순서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인식 변화는 실제 채용 시장에서도 감지된다.
현대자동차의 ‘모빌리티 기술인력 채용’ 공고는 약 1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고, 관련 채용공고도 꾸준히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진학사 캐치의 김정현 부문장은 “블루칼라에 대한 Z세대의 인식은 점차 ‘전문성과 생존력이 높은 고수익 직업’으로 바뀌고 있다”며 “직업의 사회적 인식보다는 연봉, 워라밸, 자기 가치관에 부합하는 일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