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강하고 탄탄한”…기아, K-픽업트럭 ‘타스만’ 기술 설명회 개최 [사진제공=기아]](jpg/news-p.v1.20250327.77b20f7841e149e38963d1bda224666d_p1-2.jpg)
기아가 처음으로 선보이는 정통 픽업트럭 ‘타스만’에 적용된 다양한 기술을 알리기 위해 27일 서울 서초구 세빛섬에서 ‘더 기아 타스만 테크 데이’를 개최했다.
기아는 이날 타스만 개발을 담당한 연구원의 발표를 통해 타스만에 적용된 다양한 온·오프로드용 기술을 소개하고, 각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관련 부품을 전시한 별도의 공간을 구성했다. 기아는 이번 행사에서 ▲새로운 픽업 플랫폼 ▲도하 성능 ▲견고함과 활용성을 갖춘 적재 능력 등 픽업트럭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된 차체 설계에 관해 설명했다.
![“이토록 강하고 탄탄한”…기아, K-픽업트럭 ‘타스만’ 기술 설명회 개최 [사진제공=기아]](jpg/news-p.v1.20250327.54bffba88d2a45a3a50bcfc6d992520c_p1.jpg)
타스만은 뛰어난 적재 능력,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 높은 내구성 등 정통 픽업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새로운 픽업 플랫폼이 적용됐다.
타스만의 플랫폼은 두 개의 굵은 프레임이 크로스멤버로 연결된 형태의 보디 온 프레임(Body on Frame) 구조가 적용돼 최대 700kg의 적재 중량과 3500kg의 견인 성능에 걸맞은 내구성을 확보했다. 보디 온 프레임 구조는 사다리 모양의 강철 프레임에 파워트레인과 차체를 얹는 방식으로 일반 승용차 대비 무거운 하중을 더욱 잘 버틸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이토록 강하고 탄탄한”…기아, K-픽업트럭 ‘타스만’ 기술 설명회 개최 [사진제공=기아]](jpg/news-p.v1.20250327.7d6611af3727478f81e4583b253c8896_p1.jpg)
기아는 안정적인 차량 거동을 확보하기 위해 2개의 분리형 마운트 부싱과 4개의 일체형 마운트 부싱을 적용해 타스만의 샤시 프레임과 차체를 연결했다. 아울러 타스만의 전륜 서스펜션에 내구성 및 방청 성능을 강화한 하이마운트 더블위시본 타입의 서스펜션을 적용해 안정적인 주행 성능과 높은 지상고를 확보했다.
타스만의 후륜 서스펜션에는 리지드 액슬 리프 스프링 타입의 서스펜션이 적용돼 화물 미적재 시에는 기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수준의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화물 적재 시에는 하중을 잘 버틸 수 있도록 했다.
![“이토록 강하고 탄탄한”…기아, K-픽업트럭 ‘타스만’ 기술 설명회 개최 [사진제공=기아]](jpg/news-p.v1.20250327.e2d9f08b338243e38e07d44b3030898d_p1.jpg)
타스만은 험로 주행에 최적화된 설계가 적용돼 252mm의 높은 최저 지상고(X-Pro 모델 기준)를 확보했으며, 변속기와 배기계 부품, 연료탱크 등 주요 부품을 프레임 위에 배치해 험로 주행 시 손상되지 않도록 했다.
또 기아 최초로 에어인테이크 흡입구를 측면 펜더 내부 상단 950mm 높이에 위치시키고 흡입구의 방향 또한 차량 진행방향과 반대로 배치해 도하 시 흡기구를 통해 엔진으로 물이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800mm 깊이의 물을 시속 7km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 도하 성능을 확보했다.
![“이토록 강하고 탄탄한”…기아, K-픽업트럭 ‘타스만’ 기술 설명회 개최 [사진제공=기아]](jpg/news-p.v1.20250327.b940b6c0443f4104b8798b00cf2c05bd_p1.jpg)
타스만은 사륜구동(4WD) 시스템을 바탕으로 다양한 오프로드 사양을 적용해 역대 기아 차량 중 가장 뛰어난 오프로드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2속 ATC(Active Transfer Case) ▲전자식 차동기어 잠금장치(e-LD) ▲전용 터레인 모드 등 우수한 오프로드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토잉 특화 기능을 선보였다.
이밖에도 ▲온·오프로드 모두 안정적으로 주행 가능한 R&H 성능 ▲우수한 NVH 성능 ▲동급 최대 수준의 2열 공간 등 최적의 주행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사양에 대해서도 소개했다.